데이터 반입가능 특허문헌 번호체계

마지막 업데이트: 2021 년 5 월

CN – 중국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EP – 유럽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JP – 일본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KR – 한국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US – 미국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WO – PCT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CN – 중국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일반적으로, 중국 특허의 공개번호 (开号; 公告)는 원문 상의 표기와 동일한 체계로 데이터 반입이 가능합니다.

중국 특허문헌의 특허번호()로 데이터 반입 시, "ZL"은 "CN"으로 교체해야 하며, 문헌코드가 ".X"인 경우, 문헌코드를 삭제해야 합니다.

중국 특허문헌의 출원번호 (请号)로 데이터 반입 시, "CN"을 추가해야 하며, 문헌코드가 ".X"인 경우, 문헌코드를 삭제해야 합니다.

CN (China) – 반입 가능한 번호 체계 개요

심사청구 전 공개번호(公开号
출원종류번호("t"):
발명특허= 1; 실용신안특허= 2; 디자인 특허= 3; PCT출원= 8, 9

반입 가능 포맷

비고

CN t123456A
(2007년 8월 이전)

CNt123456A
CNt123456.A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CN t12345678.A
(2007년 8월 이후)

CNt12345678A
CNt12345678.A

 

심사청구 후의 공개번호(授公告
출원종류번호("t"):
발명특허= 1; 실용신안특허= 2; 디자인 특허= 3; PCT출원= 8, 9

반입 가능 포맷

비고

CN t123456n
(2007년 8월 이전)

CNt123456n
CNt123456.n

  • 문헌코드("n")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CN t12345678n
(2007년 8월 이후)

CNt12345678n
CNt12345678.n

 

특허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ZL yy123456.n
(2003년 9월 30일 이전)

CNyy123456.n

  • 국가번호 " ZL "를 " CN "로 변경
  • 문헌코드가 ".X"일 경우, 삭제 필요

ZL yyyy12345678.n
(2003년 10월 1일 이후)

CNyyyy12345678.n

 *"ZL" 은 특허(利; zhuānlì)의 중국어 축약표기입니다.

 

출원번호(申请号
출원종류번호("t"):
발명특허= 1; 실용신안특허= 2; 디자인 특허= 3; PCT출원= 8, 9

반입 가능 포맷

비고

yyt12345.n
(2003년 10월 이전)

CNyyt12345.n

  • 국가번호 "CN" 추가
  • 문헌코드가 숫자일 경우, 소수점 "." 추가 필요
  • 출원번호가 문헌코드를 동반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문헌코드 추가 필요없음.
  • 문헌코드가 ".X"일 경우, 삭제 필요

yyyyt1234567.n
(2003년 10월 이후)

CNyyyyt1234567.n

yyt12345 
(1985년~1988년)

CNyyt12345

yyt1234567. X
(문헌코드".X"일 경우)

CNyyt1234567

yyt12345. X
(문헌코드".X"일 경우)

CNyyt12345

 

중국 국제출원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PCT/CNyyyy/012345

WOyyyyCN12345

  • "PCT"를 "WO"로 변경
  • 년도가 2자리 수일 경우(yy), 4자리로 변경 (예: 91→1991)
  • 국가번호 "CN"는 년도 뒤에 배 치 
  • 일련번호는 반드시 5자리 숫자임.
    • 만약 6자리 이상일 경우 “0” 삭제
    • 만약 4자리 이하일 경우, “0” 추가

PCT/CNyyyy/1234

WOyyyyCN01234

PCT/CNyy/00012

WOyyyyCN00012

 


EP – 유럽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EP 공개번호는 하기 포맷으로 데이터 반입이 가능합니다.

EP1234567(.A1)
국가번호 (EP) + 일련번호 (7 자리 수) (+ 문헌코드)


EP 출원번호는 하기 포맷으로 데이터 반입이 가능합니다.

EPyy123456.X (2000년 이전)
국가번호(EP) + 년도 (2자리 수) + 일련번호 (6 자리 수) + "." + 문헌코드

EPyyyy123456.X (2000년 이후) 
국가번호(EP) + 년도 (4자리 수) + 일련번호 (6 자리 수) + "." + 문헌코드

 

 EP (European Patent Office) ― 반입 가능한 번호 체계 개요

공개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0 123 456
(1999년 12월 31일 이전)

EP0123456
EP123456

EP0123456.A
EP123456.A

  • 국가번호"EP"추가
  • 국가번호 뒤의 "0"은 삭제해야할 수 있음.
  • 추가 가능한 문헌종류*
    * "A" 나 "A1",  "A2", "A3", "A4", "A8" 중 하나, "A9"
    * "B" 나, "B1", "B2", "B8" 중 하나, "B9"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0 000 123
(1999년 12월 31일 이전)

EP0000123
EP0000123.A

EP123
EP123.A

EP 1 234 567 A1
(2000년 1월 1일 이후)

EP1234567.A1
EP1234567.A
EP1234567

  • 국가번호"EP"추가
  • 추가 가능한 문헌종류*
    * "A" 나 "A1",  "A2", "A3", "A4", "A8" 중 하나, "A9"
    * "B" 나, "B1", "B2", "B8" 중 하나, "B9"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출원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yy123456.X

EPyy123456.X

OR

EPyyyy0123456.X

  • 국가번호"EP"추가
  • 년도를 2자리 수(yy)에서 4 자리 수(yyyy)로 변경해야 할 수 있음.
    예: 99 → 1999
    예: 05 → 2005
    이 경우, 일련번호가 7자리 수가 될 수 있도록 “0“ 추가
  • 문헌번호가 숫자이므로, 문헌번호 앞의 소수점은 필요함.

 


JP – 일본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만약 라틴 표기로 변경하는 것이라면, JP 특허번호는 일반적으로 하기 포맷으로 데이터 반입이 가능합니다.

국가번호 + 일련번호 + 문헌코드

여기서, 일련번호는 공개번호나 출원번호를 지칭합니다. 그러나, 일본 특허문헌 데이터의 PatentSight BI로 반입할 시, 공개번호를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만약 출원번호로 데이터 반입을 원할 경우, 2개의 분리된 리스트(공개번호 리스트, 출원번호 리스트) 를 만들어 데이터를 분리하여 반입하기를 권장합니다.

주의: 일부 공개번호와 출원번호는 데이터 반입 후 다른 문헌이 매칭 결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매칭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일련번호 뒤에 문헌코드를 추가하기를 권장합니다.  

JP (Japan) – 반입 가능한 번호 체계 개요

공개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特開昭yy-123456

特開昭yy-123456
OR
JPSyy123456.A

한자 표기 (kanji):

  • "特開" 유지
  • 일본 달력 년도는 한자와 2자리 수 년도로 구성됨. (昭 or 平) 과 2자리수 년도
  • 일본 달력년도 뒤의 하이픈"-"은 그대로 유지
  • 하이픈"-" 다음의 일련번호의 자리수는 변경하지 말고 유지할 것.

로마자 표기 (romaji):

  • "特開"를 국가번호"JP"로 변경
  • 일본 달력년도를 라틴 표기로 변경
    예: 平11 → H11
  • 하이픈"-"과 그 뒤의 "0" 모두 삭제
  • 문헌번호 "A" 추가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特開昭yy-1234

特開昭yy-1234
OR
JPSyy1234.A

特開平yy-123456

特開平yy-123456
OR
JPHyy123456.A

特開平yy-001234

特開平yy-001234
OR
JPHyy1234.A

特開平y-123456        

特開平y-123456
特開平yy-123456
OR
JPHYY123456.A

特開平y-001234        

特開平y-001234
特開平yy-001234
OR
JPHyy1234.A

特開yyyy-123456

(2000년 이후)

特開yyyy-123456
OR
JPyyyy123456.A

한자 표기 (kanji):

  • 표준 달력 년도(yyyy) 뒤에 하이픈 오는 경우 일련번호의 자리수 조정 필요없음.

로마자 표기 (romaji):

  • "特開"를 국가번호"JP"로 변경
  • 년도 뒤 하이픈 “-“ 삭제
  • 하이픈 뒤의 일련번호 자리 수 조정 필요없음.
  • 문헌코드 ".A" 추가

特開yyyy-001234

(2000년 이후)

特開yyyy-001234
OR
JPyyyy001234.A

 

특허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特許第1234567号
(문헌코드가 "B1"인 문헌)

特許1234567
特許1234567B
特許1234567B1

OR

JP1234567B
JP1234567B1
JP1234567.B
JP1234567.B1

한자 표기 (kanji):

  • “第“와 “号“ 삭제 (特許는 유지)
  • 문헌코드 "B"나 "B1"가 추가될 수 있음.

로마자 표기 (romaji):

  • "特許第"를 국가번호"JP"로 변경하고, 号"삭제
  • 문헌번호"B"나 "B1" 미추가 시, 다른 지적재산권(실용신안 등)이 매칭될 수 있음.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特許第1234567号
(문헌코드가 "B2"인 문헌)

特許1234567
特許1234567B2

OR

JP1234567B2
JP1234567.B2

한자 표기 (kanji):

  • “第“와 “号“ 삭제 (特許는 유지)
  • 문헌코드 "B2"가 추가될 수 있음.
    → "B" 를 추가할 경우, 매칭 불가

로마자 표기 (romaji):

  • "特許第"를 국가번호"JP"로 변경하고, 号"삭제
  • 문헌번호 "B2" 미추가 시, 다른 지적재산권(실용신안 등)이 매칭될 수 있음.
    → "B"를 추가할 경우 "B2" 문헌 매칭 불가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출원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特願平yy-123456

JPyyyy0123456

  • "特願"를 국가번호 "JP"로 변경
  • 년도가 일본 달력 포맷에 따른 것이라면 (昭 나 平 뒤 년도 1-2자리수(yy)), 표준 달력 포맷 (4자리 수 (yyyy))으로 변경
    예: 昭63 → 1988
  • 년도 뒤 하이픈 “-“ 삭제
  • 일련번호는 반드시 7자리 숫자이므로, "0" 추가

特願平y-123456

JPyyyy0123456

特願平yy-1234

JPyyyy0001234

特願平y-1234

JPyyyy0001234

特願yyyy-123456

JPyyyy0123456

 

일본 국제출원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PCT/JPyyyy/012345

WOyyyyJP12345

  • "PCT"를 "WO"로 변경
  • 국가번호 "JP"를 년도 뒤로 배치
  • 일련번호는 반드시 5자리 숫자임.
    • 만약 6자리 이상일 경우, “0”삭제
    • 만약 4자리 이하일 경우, “0”추가

PCT/JPyyyy/1234

WOyyyyJP01234

 


KR – 한국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한국 특허문헌 데이터를 PatentSight에 반입할 시, 특허 공개번호를 사용하시기를 권장합니다. 국가번호인 KR과 문헌종류 코드A 를 추가하셔야 하며, 일련번호는 7자리 수로 구성됩니다.

등록번호를 반입할 경우, 국가코드 KR과 문헌코드 B1을 추가합니다. 이 경우의, 일련번호 자리 수는 공개번호와 동일하게 7자리 수입니다.

한국 특허문헌 데이터를 PatentSight BI로 반입할 시, 출원번호 사용도 가능하지만 공개번호를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이는 한국 특허문헌의 경우, 출원번호가 다른 문헌의 공개번호와 동일한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특허 문허 매칭 시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반입 하고자하는 특허문헌의 출원번호만 보유하고 있다면 하기와 같은 처리 방법으로 데이터를 반입하십시오.

한국 특허문헌 출원번호의 데이터 반입방법

  1. 특허 데이터 리스트에 출원번호만 존재하여야 합니다.
  2. 반입하는 데이터가 출원번호라는 것을 시스템이 인식할수 있도록, 임의의 출원번호 하나를 데이터 리스트 상단에 추가합니다. (예: PCT 출원번호 WO1978US00001)
  3. 데이터 반입 과정에서 이 추가된 임의의 출원번호가 태그에 포함되지 않도록, 해당 출원번호를 선택 제외합니다. (하기 그림 참조)

KR (Korea) – 반입 가능한 번호 체계 개요

공개번호
출원종류번호(tt):
발명특허= 10; 실용신안특허= 20; 디자인 특허= 30; 트레이드 마크= 40

반입 가능 포맷

비고

yy-1234567
(1983년~1998년 5월)

KRyy1234567A

  • 국가번호 "KR" 추가
  • 일련번호
    년도(yy) 표기 뒤 7자리 숫자. 만약 6자리 이거나 그 이하일 경우, 일련번호와 국가번호 사이에 숫자"0”을 자리 수 만큼 추가함.
  • 문헌코드"A" 추가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yy-12345
(1983년~1998년 5월)

KRyy0012345A

yy-123
(1983년~1998년 5월)

KRyy0000123A

yyyy-1234567
(1998년 5월~2003년)

KRyyyy1234567A

  • 국가번호 "KR" 추가
  • 일련번호
    년도(yyyy) 표기 뒤 7자리 숫자. 만약 6자리 이거나 그 이하일 경우, 일련번호와 국가번호 사이에 숫자 "0”을 자리 수 만큼 추가함.
  • 문헌코드"A" 추가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yyyy-1234
(1998년 5월~2003년)

KRyyyy0001234A

yyyy-123
(1998년 5월~2003년)

KRyyyy0000123A

tt-yyyy-1234567
(2004년 이후)

KRttyyyy1234567A
KRyyyy1234567A

  • 국가 번호 "KR" 추가
  • 2자리 수의 출원 종류번호(tt)는 불포함될 수 있음.
  • 문헌코드"A" 추가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tt-yyyy-0001234
(2004년 이후)

KRttyyyy0001234A
KRyyyy0001234A

tt-yyyy-0000001
(2004년 이후)

KRttyyyy0000001A
KRyyyy0000001A

 

등록번호
출원종류번호(tt):
발명특허= 10; 실용신안특허= 20; 디자인 특허= 30; 트레이드 마크= 40

반입 가능 포맷

비고

yy-1234567
(1948년~1997년 10월)

KRyy1234567B1
KRyy1234567B

  • 국가번호 "KR" 추가
  • 년도 뒤의 일련번호는 반드시 7자리 숫자임. 만약 6자리 이거나 그 이하일 경우, 일련번호와 국가번호 사이에 숫자"0”을 자리 수 만큼 추가함.
  • 문헌코드"B1"이나 "B" 추가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yy-1234
(1948년~1997년 10월)

KRyy0001234B1
KRyy0001234B

1234567
(1997년 10월~1999년 5월)

KR1234567B1

  • 국가번호 "KR" 추가
  • 년도 뒤의 일련번호는 반드시 7자리 숫자임. 만약 6자리 이거나 그 이하일 경우, 일련번호와 국가번호 사이에 숫자"0”을 자리 수 만큼 추가함.
  • 문헌코드"B1" 추가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0123456
(1997년 10월~1999년 5월)

KR0123456B1

tt-1234567
(1999년 5월 이후)

KRtt1234567
KRtt1234567B
KRtt1234567B1 

  • 국가번호 "KR" 추가
  • 년도 뒤의 일련번호는 반드시 7자리 숫자임. 만약 6자리 이거나 그 이하일 경우, 일련번호와 국가번호 사이에 숫자"0”을 자리 수 만큼 추가함.
  • 문헌코드"B1"이나 "B" 추가
  • 문헌코드 앞에 소수점 "." 이 포함될 수 있음.

tt-0123456
(1999년 5월 이후)

KRtt0123456
KRtt0123456B
KRtt0123456B1 

 

출원번호
출원종류번호(tt):
발명특허= 10; 실용신안특허= 20; 디자인 특허= 30; 트레이드 마크= 40

반입 가능 포맷

비고

한국 특허문헌의 출원번호가 다른 문헌의 등록번호와 동일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특허 데이터 반입 출원번호 대신 등록번호를 반입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출원 번호를 반입할 시, 리스트 상에 출원번호 만이 포함되도록 하고, 매칭 결과에 대한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yy-1234567
(1948년~ 1993년)

KRyy1234567A

  • 국가번호 "KR" 추가
  • 년도 뒤의 일련번호는 반드시 7자리 숫자임. 만약 6자리 이거나 그 이하일 경우, 일련번호와 국가번호 사이에 숫자 "0”을 자리 수 만큼 추가함.
  • 문헌코드"A" 추가

yy-1234
(1948년~ 1993년)

KRyy0001234A

yyyy-1234567
(1994년~1997년)

KRyyyy1234567A

  • 국가번호 "KR" 추가
  • 년도가 2자리 수일 경우(yy), 4자리로 변경 (예: 95→1995)
  • 년도 뒤의 일련번호는 반드시 7자리 숫자임. 만약 6자리 이거나 그 이하일 경우, 일련번호와 국가번호 사이에 숫자 "0”을 자리 수 만큼 추가함.
  • 문헌코드"A" 추가

yyyy-123456
(1994년~1997년)

KRyyyy0123456A

YY-12345
(1994년~1997년)

KRyyyy0012345A

tt-yyyy-1234567
(1998년 이후)

KRttyyyy1234567A
KRyyyy1234567A

  • 국가번호 "KR" 추가
  • 2자리 수의 출원 종류번호(tt)는 삭제할 수 있음.
  • 문헌코드"A" 추가

 

한국 국제출원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PCT/KRyyyy/012345

WOyyyyKR12345

  • "PCT"를 "WO"로 변경
  • 년도가 2자리 수일 경우(yy), 4자리로 변경 (예: 91→1991)
  • 국가번호 "KR"을 년도 뒤로 배치
  •  일련번호는 반드시 5자리 숫자임.  
    • 만약 6자리 이상일 경우 “0”삭제
    • 만약 4자리 이하일 경우, “0”추가

PCT/KRyyyy/1234

WOyyyyKR01234

PCT/KRyy/00012

WOyyyyKR00012

 


US – 미국 특허 공개번호 및 출원번호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의 공개번호는 원문 상의 표기와 동일한 체계로 데이터 반입이 가능합니다.

USyyyy123456(7)(A1)

국가번호 (US) + 년도 (4자리 수) + 일련번호 (6-7 자리 수) (+ 문헌코드)

 

미국 특허문헌의 특허번호 또한 원문 상의 표기와 동일한 체계로 데이터 반입이 가능합니다.

US1234567(Bn)

국가번호 (US) + 일련번호 (1-7 자리 수) (+ 문헌코드)

미국 특허문헌의 출원번호로도 PatentSight BI로의 특허 반입이 가능하나, 공개번호를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특허의 출원번호를 반입하려면 년도(4자리 수)가 반드시 추가되어야 하고, 일부의 경우 시리즈 코드(일련번호와 다름)가 불포함되기도 합니다.

US (United States) – 반입 가능한 번호 체계 개요

공개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1,234,567
(2001년 3월 14일 이전)

US1234567
OR
US1234567A

  • 국가번호 "US" 추가
  • 문헌코드"A" 추가될 수 있음.

US yyyy/1234567 A1
(2001년 3월 15일 이후)

USyyyy1234567
OR
USyyyy1234567A1

  • 국가번호 "US"와 년도 (4자리 수; yyyy)는 그대로 보존.
  • 년도 뒤의 일련번호는 6-7자리 숫자임. 만약 일련번호가 6자리일 경우 별도 수정 필요없음.
  • 문헌코드"A1" 추가될 수 있음.
    → "A" 만 추가할 경우"A1" 문헌 매칭이 불가능함.

US yyyy/0012345 A1
(2001년 3월 15일 이후)

USyyyy012345
USyyyy0012345
OR
USyyyy012345A1
USyyyy0012345A1

 

 특허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2001년 1월 1일 이전)

US1
OR
US1A

  • 국가번호 "US" 추가
  • 일련번호 수정 필요없음.
  • 문헌코드(A or B1 or B2)가 추가될 수 있음. (문헌코드가 기재되지 않았을 경우, 식물특허와 같은 다른 지적 재산권이 매칭될 수 있음.)
    → "B" 만 추가할 경우"B2" 문헌 매칭이 불가능함.

 

1,234
(2001년 1월 1일 이전)

US1234
OR
US1234A

1,234,567
(2001년 1월 1일 이전)

US1234567
OR
US1234567A

US 1,234,567 B1
(2001년 1월 2일 이후)

US1234567
OR
US1234567B
US1234567B1

US 1,234,567 B2
(2001년 1월 2일 이후)

US1234567
OR
US1234567B2

 

출원번호
tt = 시리즈 코드*
* 상세내용 참조 이곳 클릭

반입 가능 포맷

비고

123,456
(시리즈 코드 없음)

USyyyy0123456

  • 국가번호 "US" 추가
  • 특허 출원문헌의 출원년도(4자리 수; yyyy) 추가
  • 일련번호가 7자리 수가 될 수 있도록 "0" 추가

tt/123,456
(시리즈 코드 12 혹은 그 이하*)
* 2010년 12월 16일 이전

USyyyy0123456

  • 국가번호 "US" 추가
  • 특허 출원문헌의 출원년도(4자리 수; yyyy) 추가
  • 슬래시와 시리즈 코드(2자리 수; tt) 삭제
  • 일련번호가 7자리 수가 될 수 있도록 "0" 추가

tt/123,456
(시리즈 코드 13 혹은 그 이상*)
* 2010년 12월 17일 이후

USyyyytt123456

  • 국가번호 "US" 추가
  • 특허 출원문헌의 출원년도(4자리 수; yyyy) 추가
  • 슬래시 삭제
  • 시리즈 코드(2자리 수) 삭제하지 말 것.
  • 일련번호는 6자리 수임. "0" 추가 필요없음.

미국 특허문헌의 출원년도 (4자리 수; yyyy) 관련 사항

PCT 문헌의 경우, PCT 문헌 (PCT 출원)의 출원년도가 아니라 해당 특허문헌의 미국 출원일을 사용해야 함 (USPTO 출원일). 자세한 사항은 USPTO Pubic Pair의Public Patent Application Information Retrieval 참고바람.

 

기타 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Re. 12,345
(재발행 특허)

USRE12345
OR
USRE12345E

  • 국가번호 "US" 추가
  • 문헌코드 "E" 추가될 수 있음.

US RE12,345 E
(재발행 특허)

H1234
(법정발명등록)

USH1234
OR
USH1234H

· Add the country code "US"

· 문헌코드 "H" 추가될 수 있음.

US H1234 H
(법정발명등록)

US D123,456 S
(디자인 특허)

USD123456
OR
USD123456S

· 문헌코드 "S" 추가될 수 있음.

Plant 1,234
(식물 특허)

US1234P

  • 국가번호 "US" 추가
  • 일련번호에 "0"이 포함된 경우, 삭제할 것
  • 문헌코드 "P"나 "Pn(P1-P9) 추가

Plant 12,345
(식물 특허)

US12345P

US PP12,3456 Pn
(식물 특허)

USPP123456Pn

US yyyy/0012345 P1
(식물 특허 출원공개)

USyyyy012345
USyyyy0012345
OR
USyyyy012345P1
USyyyy0012345P1

  • 일련번호는 6-7자리 수임.
  • 문헌코드 "P1" 추가될 수있음.

 


WO – PCT공개번호 출원번호

WO (PCT) 공개번호는 하기 포맷으로 데이터 반입이 가능합니다.

WOyyyy12345(6)

국제코드 (WO) + 년도 (4 자리 수) + 일련번호(5-6자리 수)


WO (PCT) 출원번호는 하기 포맷으로 데이터 반입이 가능합니다.

WOyyyyXX12345

국제코드 (WO) + 년도 (4 자리 수) + 국가번호 (XX) + 일련번호(5 자리 수)

 

WO (PCT) – 반입 가능한 번호 체계 개요

국제 공개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WO yy/12345
(1978년~2002년)

WOyy12345
OR
WOyyyy12345
WOyyyy012345

  • 년도가 2자리 수일 경우(yy), 일련번호는 반드시 5자리 숫자임.
  • 별도로, 2자리 수 년도(yy)를 4자리 수 년도로 변경할 수 있음. (예: 91→1991)

이 경우, 년도(yyyy)뒤의 일련번호는5 나 6자리 수임.

WOyy/00001
(1978년~2002년)

WOyy00001
OR
WOyyyy00001
WOyyyy000001

WO yy/123456
(2002년 7월~2003년 12월)

WOyy123456
OR
WOyyyy123456

  • 년도가 2자리 수일 경우(yy), 일련번호는 반드시 6자리 숫자임.
  • 별도로, 2자리 수 년도(yy)를 4자리 수 년도로 변경할 수 있음. (예: 91→1991)
  • 이 경우, 년도(yyyy) 뒤의 일련번호는5 나 6자리 수임.

WO yy/000123
(2002년 7월~2003년 12월)

WOyy000123
OR
WOyyyy000123
WOyyyy00123

WO yyyy/012345
(2004년 1월부터)

WOyyyy012345
WOyyyy12345

  • 년도가 4자리 수(yyyy)라면, 일련번호는 5 6자리 임.
  • 년도 뒤의 일련번호가 6 자리 숫자이거나 "0"을 동반한 그 이상의 자리 수일 경우, "0"을 삭제함.

WO yyyy/000001
(2004년 1월부터)

WOyyyy000001
WOyyyy00001

 

국제 출원번호

반입 가능 포맷

비고

PCT/JPyyyy/001234

WOyyyyJP01234

  • "PCT"를 "WO"로 변경
  • 년도가 2자리 수일 경우(yy), 4자리로 변경 (예: 91→1991)
  • 국가번호를 년도 뒤로 배치
  • 일련번호는 반드시 5자리 숫자임.
    • 만약 6자리 이상일 경우 “0”삭제
    • 만약4자리 이하일 경우, “0”추가

PCT/CNyyyy/012345

WOyyyyCN12345

PCT/USyyyy/012345

WOyyyyUS12345

PCT/JPyy/00012

WOyyyyJP00012

PCT/CNyy/00123

WOyyyyCN00123

PCT/USyy/12345

WOyyyyUS12345